토목 기사 자격증 취득 (신청방법 및 자격요건)

토목기사-준비 및 신청

안녕하세요! 꾸공남입니다.

오늘은 토목 기사 신청방법 및 자격요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토목공학 전공자분들, 취업을 위해, 아니면 기술사를 위해서도 토목기사 공부 많이하실겁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어려운 난이도와.. 취업준비도 해야하는데 기사 공부까지 하려니 힘이 드는 게 사실이죠.

저도 학교 공부도 하고, 취업도 하고 싶고, 기사도 빨리 따고 싶어서 부랴부랴 준비했던게 기억나네요.

그 때 정보가 취합되지 않아서 더 갈피를 못잡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제가 1. 신청자격과 신청 방법, 2. 각 과목 공부방법 으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토목 기사란?

토목기사(Engineer Civil Engineering) 는 토목공학에서 필요한 기술 및 지식을 인증해주는 자격증입니다.

“토목산업기사”와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자격요건에서 “토목 기사”는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및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3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이 신청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더 상위 등급의 자격증이고

두 번째, 응시과목에서도 (1) 응용역학, (2) 측량학 (3) 수리학 및 수문학 (4) 철근 콘크리트 및 강구조 (5) 토질 및 기초 (6) 상하수도 공학 총 6가지 과목의 필기 + 토목설계 및 시공 실무의 실기 시험으로 이루어져,

(1) 구조 설계 (2) 측량 및 설계 (3) 수자원 설계 3과목의 필기 + 토목설계 및 시공 실무의 실기 시험으로 이루어진 “토목산업기사”와는 구분됩니다.

훨씬 더 과목이 많죠… (“토목기능사”는 없습니다._철도토목기능사 제외)

2. 우대현황

6가지 과목과 실기까치 치는데 혜택이 무엇일까요?

(1) 법률적으로 국가직 우대정보 有

‘한국산업인력공단’ 을 참고해보면 “우대정보”가 표현되어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 확인해보시죠

한국산업인력공단 토목기사 우대정보

(https://www.q-net.or.kr/crf005.do?id=crf00505&gSite=Q&gId=&jmCd=1250&examInstiCd=1)

이렇게 국가직 (공무원 등)에서 법적으로 우대하도록 실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2) 사기업 취업 시 서류제출 및 우대 (경험)

사기업에서도 “토목기사” 자격증은 ‘이 사람이 어느정도 지식을 갖추었는가’에 대한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제가 인사 담당자가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 환산은 불가능하나,

취업 경험상 토목기사 자격증 보유 有, 無에 따라 서류 합격률은 상당히 차이가 났습니다.

3. 자격요건

토목 기사 시험신청 자격요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Ref. 한국산업인력공단_기사 응시자격 정보)

(https://www.q-net.or.kr/crf006.do?id=crf00603&gSite=Q&gId=)

3-1.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

(1) 산업기사 이상 취득 후 1년의 실무 경력

(2) 관력학과의 대학졸업자 및 졸업예정자

(3) 3년제 전문대학 관력학과 졸업 + 1년의 실무 경력

(4) 2년제 전문대학 관력학과 졸업 + 2년의 실무 경력

(5) 기사 응시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에서 4년의 실무 경력

공통적으로 “최소 4년”의 학업 및 실무 경력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산업기사는 2년제 전문대학 졸업 + 1년 경력이면 3년이라 가장 빠르겠네요)

3-2. 대학졸업예정자 상세

그 중, 대학교 수업을 들으면서 토목기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은 “졸업예정자”가 궁금하실텐데요.

링크에서 밑의 “졸업예정자”에 대한 설명을 요약하면,

(1) 정해진 학년 중 최종학년 재학 중

(2) 106학점 이상 취득

(1학기 18학점 X 3년(6학기) = 108학점이니 가능하겠죠?!)

(3) 위 조건은 “필기시험 시행일 기준”

을 명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고등학교 졸업자의 경우 산업기사 및 동일 직무의 경력이 필요함을 명심해주세요.

4. 시험형식

4-1. 필기 + 실기

시험 형식은 필기 + 실기로 나뉩니다.

필기 과목은 앞서 설명드린 6가지(응용역학/측량학/수리학 및 수문학/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토질 및 기초/상하수도 공학) “객관식” 이고

실기 과목은 6가지 과목에 대해 “주관식” 문제를 푸는 형식입니다.

각 공부 방법에 대해서는 2편에서 제가 공부한 경험을 위주로 다루겠습니다.

4-2. 필기시험 면제

필기 합격자에 한해서만 실기를 응시할 수 있는데요.

이 때 저희 수험자에게 좋은 제도가 바로, “필기시험 면제” 입니다.

법에 따라서, 필기합격일부터 2년까지 필기시험을 치르지 않고 실기를 응시할 수 있습니다. 대신, 이 2년의 기간은 “실기접수일” 기준입니다.

예를 들어, 23년 5월 2일 필기합격 / 25년 5월 1일까지 필기시험 면제 인 경우,

(1) 실기 접수일 : 25년 4월 30일 = 실기 응시 가능

(2) 실기 접수일 : 25년 5월 2일 = 실기 응시 불가능

명심해주세요!

5. 시험 난이도 및 대비

토목기사의 경쟁률은 상당히 높습니다.

Ref. 1. 자격시험 현황

https://www.q-net.or.kr/crf012.do?id=crf012031&jmCd=1250&grdCd=30&gSite=Q&gId=

Ref. 2. 합격률

https://www.q-net.or.kr/crf005.do?id=crf00505&gSite=Q&gId=&jmCd=1250&examInstiCd=1

합격률 통계를 보면 필기 29.5% / 실기 39.2% 로 집계되고 있는 만큼 매우 어려운 시험이 맞습니다.

저도 실기는 한 번 떨어졌네요..

6. 신청방법

신청은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에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먼저 “토목기사의 필기시험 일정”을 참고하시고,

(1) “원서 접수 및 접수 수수료 결제”

(2) “필기시험”

(3) “필기시험합격예정자 응시자격서류 제출 (to 한국산업인력공단)”

(4) “실기시험”

순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렇게 모두 합격하면 아래와 같이 자격증 취득조회가 가능합니다.

토목 기사

이상으로 토목기사 신청방법 및 자격요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음 2편은 토목기사 취득을 위해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